Hello,
We are Spatial Design Dept.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Contact
︎spatial@kookmin.ac.kr
︎+82 (0)2 910 4640
︎College of Design, Kookmin  University, Jeongneung-ro 77,
Seongbuk-gu, Seoul, 02707
Korea




Hello,
We are Spatial Design Dept.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공간디자인학과

Department Info.


학과소개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서는 질 높은 생활문화의 추구와 함께 차별화, 첨단과학화, 정보화의 요구가 증대되고, 동시에 인간존중의 삶의 가치도 더욱 중요시될 것이다. 이에 본 공간디자인학과에서는 새로운 생활문화를 창출하기 위한 다각적 인자들을 디자인 해결 요소로 인식하고, 창조적 가치로서의 미에 대한 추구와 아울러 기능 및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교육체계를 갖춘다. 이를 위하여 건축적 제반 요소와 주거, 상업, 문화, 복합 및 공공에 이르는 공간의 제 분야 및 재료, 색채, 가구, 조명 등의 공간 구성 요소에 대한 실질적 실무중심의 교과목을 편성하여 다양하게 확대되어가는 현대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앞서가는 미래인으로서의 전문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History


2024
제 24회 졸업작품전시회

2023
공간디자인학과 학회 <STEP> 포럼
제 23회 졸업작품전시회

2022
제 7회 Spot - [NEXT GENE]
제 17회 조형전 - [Meta DEX]
제 22회 졸업작품전시회

2021
제 21회 졸업작품전시회

2020
제 20회 졸업작품전시회

2019
제 4회 Spot - [Artificial Nature]
제 16회 조형전 - [Artificial Nature]
제 19회 졸업작품전시회

2018
제 18회 졸업작품전시회

2017
제 17회 졸업작품전시회

2016
제 3회 Spot - [잇다]
제 15회 조형전 - [잇다]
제 16회 졸업작품전시회
“공간디자인학과”로 학과명 변경

2015
제 2회 Spot - [Campus Space For Creative & Innovative Activity]
제 15회 졸업작품전시회

2014
제 1회 Spot - [Spatial Toy]
제 14회 졸업작품전시회

2013
제 14회 조형전 - [IM]
제 13회 졸업작품전시회
International Design Award 대상 수상

2012
IF Design Award 컨셉 어워드 수상
제 12회 졸업작품전시회

2011
제 11회 졸업작품전시회

2010
제 13회 조형전 - [From Logic To Magic]
중국 청화 대학 교류전
Red Dot Design Award 최우수상 수상

2009
제 9회 졸업작품전시회
공간국제학생건축상 대상 수상
삼성물산 래미안 디자인 페어 공공디자인 부문 1위 수상

2008
제 8회 졸업작품전시회
Salone Satellite 초대전 (밀라노) -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 한-중-일 교류전

2007
OCDC 한-중-일 3개국 연합 중국전시회
[That’s Design] 참가 (밀라노)
제 4회 TDWA - Street Furniture 부문 참가 (도쿄)
서울시 공공디자인 공모전 대상 수상
제 7회 졸업작품전시회

2006
개교 60주년 제 12회 조형전 - [New Partnership - 자연, 인간, 기술]
제 6회 졸업작품전시회
제 3회 TDWA - Street Furniture 부문 참가 (도쿄)

2005
제 5회 졸업작품전시회
일본 무사시노 대학교 워크샵 및 세미나 OCDC 웹 사이트 개설

2004
제 11회 조형전 - [나눔 / 디자인 교육과 실천]
한-중-일 교류전 및 웹 사이트 개설
제 17회 대한민국 인테리어 디자인대전 대상 수상
제 4회 한샘 국제공간공모전 은상 수상
제 4회 공간국제실내건축대전 대상 및 우수상 수상

2003
제 3회 졸업작품전시회
제 3회 공간국제실내건축대전 대상 수상
Austra Wooden Window International Competition 그랑프리 수상

2002
제 2회 졸업작품전시회
KIID 춘계학술발표대회 개최
제 2회 한-중 실내디자인 학생 워크샵

2001
제 1회 졸업작품전시회
Salone Satellite 전시 (밀라노)
제 10회 조형전 - [소수를 위한 디자인]
제 1회 Cyber Interior Design Award 1, 2위 수상

2000
디자인 대학 연합 페스티벌 [광] 

1999
실내디자인학과 개설 기념전
유스페페스티벌 퍼포먼스 [놀자] - 광화문
제 9회 조형전 Cydex - [21세기 키워드를 찾아서]

1998
실내디자인학과



Curriculum

1학년
공간기초
기초공간제도
공간디자인에 관련된 기초도면 작성법에 의한 표현방식에 대해(선 그리기, 도면표기, 치수표현, 기호, 평면도, 입면도, 천정도, 단면도, 창호도, 실측 및 실측도) 수작업으로 연습한다.
CAD/BIM설계
기초공간제도를 바탕으로 Computer Aided Design (Auto CAD/BIM)의 사용능력 및 기본설계를 진행하는 능력을 학습한다.


1학년
디지털
디지털드로잉
디지털모델링


1학년
이론
공간디자인론 I
공간디자인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세우기 위한 기초 단계로 관련 용어와 정의, 공간디자인의 전개, 공간 구성 요소, 공간과 조형성 등을 학습한다.


1학년
응용
패브리케이션테크닉 I
패브리케이션테크닉 II
I 에서는 조형적 발상을 입체적인 결과물로 자유롭게 구현하기 위해 석고, 플라스틱, 실리콘, 목재 등의 다양한 재료를 디지털 및 아날로그 기법을 통해 직접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II 에서는 석고, 플라스틱, 실리콘, 목재, 철재 등의 재료의 물성, 기법 등을 예시와 실습을 통해 익히고 새로운 기법과 조형언어를 통해 스스로 재료의 변형과 감성 투영의 능력을 기른다.


1학년
스튜디오
공간조형 I
공간조형 II
I 에서는 조형의 원리와 이해를 바탕으로 평면 및 입체조형에 대한 훈련을 하여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자세를 갖추고, 조형의 물리적이고 시각적인 특성의 파악하여 공간디자인의 기초 능력을 키운다.
II 에서는 공간조형의 심화단계로, 공간에 대한 해석과 표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공간의 표현 및 연출 기법을 다양한 재료와 특성화 된 공간의 연출기법을 실험한다.


1학년
공통
S-Team Class


2학년
디지털
융합디지털모델링
3D 기반의 디지털디자인 소프트웨어인 3D Studio Max의 모델링, 매핑, 렌더링, 애니메이션 등의 기법을 습득하여, 디자인 재현능력에 있어 확장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융합디지털렌더링
건축공간에 특화된 전문 3D모델링 기법 및 Vray를 통한 빛, 매터리얼, 렌더링 기법을 습득하여, 향후 다양한 연구 및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 요구되는 전문적 디지털 재현기술을 학습한다.


2학년
이론
공간디자인론 II
공간디자인의 기본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공간디자인을 하기 위한 실질적인 계획론과 디자이너 탐구, 디자인 방법론 등 관련 이론을 학습하고 익힌다.
공간디자인사 I
공간디자인사 II
I 에서는 행위하는 주체로서의 인간은 공간을 통하여 각 시기마다 달리 자연 속에서 독립하고 공존하는 삶의 주체로서 생활하여 왔다. 고대에서부터 포스트모던, 네오모던에 이르기까지 공간디자인의 역사를 습득하고 맥락을 파악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II 에서는 현대디자인사는 건축 및 공간디자인의 역사적 흐름 중 근대 이후, 현대를 기준으로 학습하는 과목으로서, 네오모던 이후 80 년대에서 2013년까지의 디자인의 흐름을 파악하고 현대디자인트렌드 및 사조의 특성과 근원을 이해한다.


2학년
응용
공간과그래픽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시각적 인지 및 그래픽 요소에 대한 역할을 이해하고 그래픽적인 디자인 표현능력을 기른다. (활용장비: 일러스트레이터 및 포토샵)
공간과물성 I
공간과물성 II
I 에서는 기학습한 각 재료의 물성을 공간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하여 관계성을 파악하고 실험하며, 이를 토대로 공간적 재료 개발에 대한 방향성과 계획을 세운다.
II 에서는 물성의 속성 연구의 심화 과정으로, 설정한 공간의 컨셉과 방향에 따라 중요 재료를 직접 표현하고 개발한다. 물성의 속성에 대한 기본 학습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독자적이고 차별화된 디자인의 표현 방법을 획득한다.
공간과조명 I
공간과조명 II
I 에서는 자연광에서 인공조명에 이르는 빛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간마다 그에 적합한 효율적인 조명기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장식적이고 기능적인 조명기구를 디자인하고 제작하기 위한 기술을 습득한다.
II 에서는 빛과 공간의 상호적인 이해와 사용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조명환경을 계획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조도 및 휘도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해 합리적인 조명설계가 이루어지는 기술을 습득한다.
공간과미디어 I
공간과미디어 II
I 에서는 학생들은 디지털 세계의 이해와 간단한 영상 촬영 및 제작, 간단한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해 생각의 표현 방식을 경험한다. 더불어 시나리오 구성, 소품 제작 및 촬영, 및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포토샵, 일러스트, 프리미어, 에프터이펙트)를 이용한 프로덕션의 경험을 통해 디지털 환경에서의 다양한 현장에 대한 시야를 넓힌다.
II 에서는 기본적인 미디어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피지컬 컴퓨팅을 통한 인터렉티브한 환경을 경험해보는 수업이다. 물질적 , 비물질적인 미디어 환경을 학생 스스로 컨트롤해 봄으로써 자신의 작품의 개념을 사각의 프레임을 넘어서 시공간 속에서 구조화 해보는 경험을 한다. 이러한 공감각적인 아이디어의 확산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작업의 개념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2학년
전문
공간과오브제
공간과 오브제간의 해석과 연출기법에 대한 다양한 접근으로 특성화 된 공간의 표현능력을 배양한다.


2학년
스튜디오
디자인스튜디오 I
디자인스튜디오 II
I 에서는 프로젝트(레지덴셜- Single family) 베이스, 디자인스튜디오로 진행되며, 초기 컨셉단계부터 스케메틱 디자인까지의 과정을 디자인한다. 초기컨셉, 프로그래밍, 공간분석, 공간기획에서 시작하여 최종 디자인까지의 과정을 멘토링이 강조된 스튜디오 오리엔테이션으로 진행된다.
II 에서는 디자인스튜디오 I에서 습득한 능력을 바탕으로 동일한 스튜디오 오리엔테이션에서 다양한 Multi-family Housing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3학년
디지털
디지털지오메트리 I
디지털지오메트리 II
I 에서는 3D 시뮬레이션 기법 및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기법 연구를 통해, 디지털 기반 디자인이 지닌 이론, 프로세스, 조형을 탐구하여, 생성적 디지털 디자인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II 에서는 Rhino 3D의 Grasshopper를 통한 디지털 형태생성기법을 습득하고, 알고리즘을 이용한 디지털 디자인 방법을 실제 디자인에 적용해 봄으로써, Computation Design의 조형적 가능성을 실험한다.


3학년
이론
공간디자인이슈 I
공간디자인이슈 II
I 에서는 시대변화에 따른 요구형 수업으로, 공간과 관련된 인문, 사회, 철학, 전통문화, 테크놀로지, 환경 등 다양한 이슈를 선정하여 한 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II 에서는 공간디자인 업계와 관련 분야의 빠른 변화를 파악하고 진출 영역의 확장을 도모하기 위하여 실무적 차원의 새로운 아젠다와 이슈, 필요한 인재상을 중심으로 주제별 집중 연구와 토론을 진행한다.


3학년
전문
가구디자인 I
가구디자인 II: 캡스톤디자인
I 에서는 가구디자인의 기본구성요소와 공간 디자인에서 가구디자인의 기능 및 역할을 이해하고 재료 및 구조적인 실험을 통하여 창의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의 습득 및 디자인 능력을 배양한다.
II 에서는 가구디자인의 기본구성요소와 공간 디자인에서 가구디자인의 기능 및 역할을 이해하고 재료 및 구조적인 실험을 통하여 창의적인 디자인을 할 수 있는 기초 지식의 습득 및 디자인 능력을 배양한다.
가상공간디자인 I
가상공간디자인 II
I 에서는 언리얼 에디터의 기초적인 사용법을 익혀 이를 바탕으로 가상 공간의 환경을 구성하고, 직접 구성한 가상 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공간과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방식을 학습한다.
II 에서는 가상공간디자인 I에서 습득한 능력을 바탕으로 현실을 넘어선 가상 공간만의 특징을 이용해 새로운 공간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하고 디자인한 뒤 이를 구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공간에 대한 개념과 의식을 확장시킨다.
전시공간디자인 I
전시공간디자인 II
전시는 전시관의 성격 및 전시물의 종류에 따라 전시주제와 전시물의 성격을 분석하여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 전시의 개념을 확립하고 관람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시물의 의미와 주제를 형상화하여 전시공간과 환경적 요소, 연출매체, 공간디자인을 통해 전시공간을 완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3학년
스튜디오
디자인스튜디오 III
디자인스튜디오 IV
III 에서는 실내공간 중 여러 유형의 상업공간 및 Adaptive-Reuse 공간디자인을 한다. 대상공간의 MD구성과 업종별 데이터 수집 및 관찰을 통한 정량적 분석과 공간의 감성적 주제와의 접목을 시도한다.
IV 에서는 디자인스튜디오 III의 과정을 통하여 배양된 창의적 이해를 바탕으로 숙박 공간과 업무 공간 등의 복합기능을 해석하는 능력을 습득하게 한다. 상권 분석과 선택, 소비자 NEED 분석과 대응, 공간 행위의 심리적 대응 연구 등 전반적인 공간디자인의 실질적 프로세스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


4학년
응용
공간디자인창업
졸업 후 개발한 아이디어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창업 아이템의 가치를 탐색하고 창업에 필요한 제반사항 및 각종 실무사항을 미리 습득한다.
공간디자인포트폴리오
졸업을 앞둔 학생들로 하여금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하여 자신의 성향을 파악하고,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제 분야에 대한 소개 및 취업 멘토들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진로모색 및 미래비전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수업이다.


4학년
스튜디오
융합디자인스튜디오 I: 캡스톤디자인
융합디자인스튜디오 II: 캡스톤디자인
디자인스튜디오 V: 캡스톤디자인
디자인스튜디오 VI: 캡스톤디자인
졸업작품으로 진행되는 본 수업들은, 그동안 습득한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이론과 개념을 종합하고, 영역을 넘어선 융합되고 확장된 개념으로서의 공간디자인의 가능성을 비평적, 주관적 관점을 통해 제시한다.


전학년
공통
사제동행세미나


Career


졸업 후 진로
인테리어디자인, 전시디자인, 코디네이터, VMD, 가구디자인, 건축디자인, 조명디자인, 무대디자인, 게임공간디자인



Admission


입학 전형별 문의처
학생부종합전형: 02-910-5793~20
학생부교과전형 및 수시 (실기우수자, 특기자):
02-910-4123
정시: 02-910-4124
편입: 02-910-4125
재외국민: 02-910-4126



Contact


조형대학 교학팀
(02) 910-4640
spatial@kookmin.ac.kr
학과조교
윤지현
dmsdk5669@kookmin.ac.kr
웹 관리자
이정민
20201748@kookmin.ac.kr



Copyright©2020 Dept. of Spatial Design, Kookmi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